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2

주식 거래 시간 및 시간외거래 방법 주식을 하다보면 시간외거래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장은 끝났는데 주식을 거래하는 것이죠? 어떻게 하는지 언제 하는지.. 주식 시간외거래 방법 및 시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① 주식 시간외거래 ? ② 시간외거래 거래 시간? ③ 주식 시간외거래 하는 법? ④ 주문 유형이란? ⑤ 함께 읽으면 좋은 포스팅 주식 시간외거래 장전 시간외거래, 장후 시간외거래 주식시장에서 시간외거래란 뭘까요? 말 그래도 이입니다. 시간 외에 거래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무슨 시간이냐면 정규 거래시간 외 주식을 거래하는 것을 시간 외 거래라고 합니다. ​ © Mediamodifier, 출처 Pixabay 시간외거래 : 거래시간은? ​ 그럼 먼저 주식 정규 거래시간을 알아보겠습니다. ​ 한국 증시 거래 시간 (출처 : 네.. 2022. 11. 17.
주식 리픽싱 : 전환가액 조정, 전환사채 뜻, 발행 이유, 발행 내용 확인, 주가 영향, 주식 옵션 올해가 가기 전에 기업들은 전환사채를 이용하여 자금 확보를 하려는 것 같습니다. ​전환사채란? 무엇일까요? ​ 지금부터 전환사채에 대하여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① 전환사채 (CB) 뜻? ② 전환사채 발행 이유? ③ 주가에 미치는 영향? ④ 전환사채 발행 내용 확인 방법 ⑤ 주식 리픽싱 뜻? ⑥ 주식 옵션 이란 ? 전환사채 (CB) 란? CB : Convertible Bond 기업이 자금을 융통하는 큰 수단 2가지가 바로 주식과 채권이다. 자본시장은 이들 두 가지 상품의 거래 시장을 말한다. 그런데 주식과 채권의 특징을 모드 가진 것이 전환사채이다. ​ 일정한 조건에 다라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으로서 전환 전에는 사채로서의 확정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전환 후에는.. 2022. 11. 15.
주식 인적분할 물적분할 뜻 호재 주식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인적분할은 호재 물적분할은 악재로 여겨지고 있어요. ​ 왜 그럴까요? 1. 인적분할이란? 2. 물적분할이란? 3. 인적분할, 물적분할 하는이유 인적분할 이란? : 회사의 일부 사업 부문을 분리하여 하나 이상의 독립된 회사를 설 집하는 조직개편. ​ 인적분할은 주주구성은 변하지 않고 회사만 수평적으로 나눠지는 수평적 분할이다. A라는 회사가 B와 C라는 상장 회사로 각각 나뉘는데, 기존의 주주는 (대주주, 소액주주, 모두) B, C 회사의 지분을 (기존 A 회사 때와) 동일하게 보유하는 것. ​ A 회사의 주주들은 B, C 두 개의 상장 회사 주식을보유하게 되는데 그 가치는 보통 기존 보유하던 것 보다 더 큰 가치를 가지게 된다. 물적분할이란? : 분리, 신설된 회사의 주식을 모회사.. 2022. 11. 13.
유상증자 무상증자 뜻 :: 권리락 호재 악재 장점 단점 주식 용어 공부 ​ 기업공시나 뉴스 기사에 무상증자, 유상증자를 한다는 것을 자주 접하셨을 텐데요. 그것이 무엇인지와 주가 전망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증자란 2. 유상증자란? 3. 무상증자란? 4. 유상증자, 무상증자 호재, 악재? 장점, 단점 5. 권리락란? 증자란? ​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기업들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 1. 신주 발행하는 것. → 신주 발행을 통해 '자기자본의 조달' 이라고 합니다. ​ 2.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것. → 사채에 의한 자금 조달을 '타인자본의 조달'이라고 합니다. ​ 1번 신주 발행하는 것이 증자입니다. © austindistel, 출처 Unsplash 유상증자 유상증자 뜻? - 주식의 증가와 함께 실질적인 재산의 증가. - 돈을 내고 주식을 받는 것.. 2022. 11. 13.
반응형